STUDY/사물인터넷


Update Log | 22.12.03 First Upload 지난시간에는 LTE와 Wi-Fi에서도 사용되는 방식인 OFDM, OFDMA방식을 알아보았다. ZigBee의 어원 Zigzag + Bee 의 뜻으로 수많은 벌떼가 서로 통신을 한다는 의미이다. 수많은 업체들이 근거리 무선 통신 솔루션 관련된 협의체를 만들었다. Bluetooth의 단점을 보완하기에 만들었다. 만든 목표는 Low cost, Low power consumption 을 위해서이다. ZigBee의 특징 IEEE 802.15.4 의 규격이 PHY , MAC Layer를 커버하고 있다. 또한 Network 규격까지 미리 다 정해놓았다. (Wi-Fi는 이를 규격에 따로 넣지 않았다.) 이는 형상에 관련해서 (topological) 에서도 규..


Update Log | 22. 12. 03 MQTT Minimal Battery loss 와 Minimal Bandwidth 를 위해서 만들어진 Protocol이다. 구현하기가 단순하다. 데이터의 전송에서 서비스의 질을 보장한다. 경량적이고 (헤더가 작고 = 코드 전체량이 가볍고), 통신이 가볍다 대역폭이 효과적이다. OS 를 가리지 않는다. 어떠한 OS 가 되더라도 잘 작동한다. 언어를 가리지 않고 다 쓸 수 있다. 연속적인 세션 (서로간에 연결되어있다.) 를 인지하고 있다. 즉 상대방의 상태를 서로 알 수 있다. 구동된 사건이다. 즉 사건이 일어나야 구동이 된다. MQTT 의 구조 MQTT 는 M2M 연결 프로토콜로써, TCP/IP 로 구동된다. MQTT의 구조의 특징 Publish - Subscri..


Update Log | 22. 12. 03 First Upload CoAP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주요 IoT 표준이다. Java, C, Python, C#, Go,등 여러가지 언어에서 제공되고 있다. 2014년 부터 IETF 표준에 열려있다. 작고, 제약되고, Low Power 된 기기에 설치되어 있다. UDP를 쓰되 , 상위에서 안정성을 더했다. Low Power, Low BW, Lossy Network 에서 사용된다. REST 기반이다. HTTP/1, HTTP/2 는 TCP 기반의 프로토콜이다. 최근 HTTP/3 은 UDP 기반의 프로토콜이다. QUIC (Quick UDP Internet Connection) by Google CoAP 은 TCP 기반의 ..


Update Log | 22. 12. 3 First Upload HTTP HTTP HTTP 는 웹에서 문서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HTTP 는 " Server " 와 " Client" 라는 두가지 역할이 있다. HTTP Request 전송시, 클라이언트가 HTTP method를 포함한 Request Header 를 보낸다. HTTP method 는 "서버" 에게 URL 로 식별된 데이터로 수행할 작업을 "서버" 에게 알려준다. RESTful API 에서 '클라이언트' 가 '서버' 에게 보내는 HTTP method GET 기존 데이터를 요구할때 웹 URL을 브라우저에 입력할때를 말한다. POST 새로운 것을 생성해달라고 요구할 때 회원가입을 하여 DB에 정보를 등록할때를 말한다. PUT 기존 값..


Update Log | 22.11.28 First Upload IEEE 802.16 IEEE 802.16d (2004년) Fixed Application Licensed / Unlicensed Non LOS : 2 ~ 11GHz LOS (전자파가 직선으로 도달이 가능한 거리 = Line of Sight): 10 ~ 66GHz OFDMA 2048 FFT, OFDM 256 FFT - Fixed WIMAX IEEE 802.16e (2005년) Fixed and Mobile Licensed: Non-LOS < 6GHz OFDMA 128 ~ 2048 FFT - Mobile WIMAX Mobile WIMAX 특성 OFDMA /TDD 사용자당 최대 (Wave2) DL 40Mbps UL 12Mbps 120Km/h 의 ..


Update Log | 22.11.27 First Upload NB-IoT KT NB-IoT망을 사용함 NB-IoT는 1.8 GHz 대역에서 180KHz를 대역폭으로 사용. KT가 서울과 수도권 일대에서 NB-IoT의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 NB -IoT 선택이유 3GPP 표준에 기반한 IoT 추진이다. 글로벌 표준으로 향후 기술진화 수용이 용이하다. 글로벌 로밍 (Roaming)이 가능하다. 면허대역 (Licensed Band)를 이용함으로써, QoS를 보장하고 보안 및 간섭 성능이 우수하다. 별도의 IoT 망을 구축하지 않고 기존 LTE 망을 활용할 수 있어 비용 효율적. SKT 920MHz 대역에서 LoRa기반 IoT 전용망 전국 구축을 완료. LoRA 선택이유 통신모듈 비용이 저렴하다. Open ..


Update Log | 22.11.28 First Upload 5G Service Scenarioss Massive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Smart Building Logistics, Tracking and Fleet management Smart Meter Smart Agriculture Capillary Networks URLLC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RAN의 이야기만을 다루고 있다. 무선망이 먼저이다. Traffic Safety & Control Industrial Application & Control Remote Manufacturing, Training, Surgery Enhanced BroadBand ..


Update Log | 22.--.-- First Upload LTE Advanced Tech ComP (Coordinated Multi-Point) Evolution of HetNet 여기서의 HetNet은 다른종류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Enhanced MIMO Carrier Aggregation 이는 B.W를 넓히겠다는 노력이다. Wi-Fi에서의 Channel - bonding 과 비슷하다. Multiple antenna System (MIMO) Transmit Diversity or Space Time Coding Link Reliability 즉 신뢰성을 높여주기 위해서 같은것을 여러개를 보낸다. 받은사람 입장에서는 여러개중에서 하나만 받아도 된다. Spatial Multiplexing (공간 ..